아트 오앤오에서 펼치는 향토색 부스 ART ONO 2024 Booth No.316 19 - 21 April 2024 SETEC Exhibition hall 3, 3104, Nambusunhwan-ro,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HEO는 2024년 ART ONO에 새로운 세대를 이끌어갈 젊은 작가들과 함께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Hyangtosaek (향토색)
1. ‘향토색’은 도시적 정서와 대칭을 이루는 시골, 혹은 향촌의 경관과 풍물에 담긴 고유의 정서나 특색을 일컬으며, 미술 분야에서 향토색은 ‘지방색(地方色, local color)’을 나타냅니다. 한글 단어에서는 ‘향토적’이라 일컬어지는 다양한 뉘앙스와 분위기가 담겨있지만, 이를 영역할 경우 ‘Local color’라는 다소 단편적인 해석만이 가능합니다. 동시에 모순되게도, ‘향토(鄕土)’란 근대 이전에 존재했던 고유어가 아니라 독일어 ‘Himartkunst’를 일본에서 번역한 용어이기도 하며, 일제 강점기의 문예계 전반에 크게 유행하였습니다. (‘미술’이라는 단어 역시 ‘공예’라고 번역한 ‘Kunstgewerbe’에 해당하는 일본어가 없었기 때문에 급조된 이에 해당하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냈는데, 아름다움의 ‘미(美)’와 기술이나 수단, 방법을 뜻하는 ‘술(術)’을 이어 붙인 ‘미술(美術)’입니다.)
2. ’Earth tone’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색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주로 대지, 바위, 나무, 모래 등 지구의 자연적인 요소들에서 영감을 받은 색상들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색상들은 일반적으로 갈색, 베이지, 올리브그린, 짙은 황토색 등을 포함합니다. 한편, ‘향토색’은 특정 지역이나 문화의 토착적인 색채를 나타냅니다. 이는 지역적인 풍경, 문화, 전통적인 의상 등에 영향을 받은 색상들을 말합니다. 향토색은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며 종종 그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요소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Earth tone과 향토색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 산업, 자연, 그리고 사람들의 삶에서 영감을 받은 색상들은 그 지역의 향토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해에서 영감을 받은 향토색 팔레트는 토양의 색상, 해안의 모래와 바다의 색조, 혹은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3. 단색화의 영역이 ‘Dansaekhwa’로 공식 표기되면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해진 것을 모방하여, ‘Hyangtosaek’으로 명명하고자 하는 본 기획은, 작품에서 Earth tone 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나는 다양한 지역 출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동시대 청년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Hyangtosaek에 대한 새로운 뉘앙스를 포착하고자 합니다. 서울은 세계적인 갤러리들의 국내 진출과 한국 미술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국제적인 아트 허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내 아트 페어로는 이례적으로 20여 개국에 달하는 세계 각지의 갤러리들과 함께 미술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는 ART OnO를 통해 단순히 상업적 목적이 아닌 한국성과 한국미술에 대한 탐구와 경험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기획: 정찬용 (THEO Assistant Director) |
|
|
肛淚 홍루 Tears of anus, 2024, Korean traditional paint on silk, 32cm (diameter) |
|
|
Competing heads-Hydra, 2023, Oil on canvas, 73 x 60cm |
|
|
Seungwan Ha
b. 1992 / Gwangju, Korea
|
|
|
Scar no.1, 2024, Acrylic yarn, acrylic, latex, jute cloth on canvas, 80.3 × 80.3cm |
|
|
Kyumin Hwang
b. 1992 / Daejeon, Korea
|
|
|
Quarter Torso, 2023, Fired clay, glaze, 47 × 34 × 21.5 cm |
|
|
JEONG-UI YUN
b. 1994 / Seoul, Korea
|
|
|
Piano and Foot, 2024, Oil on canvas, 53 x 45.5cm |
|
|
SEUNGKEUN, JANG
b. 1995 / Chuncheon, Korea
|
|
|
띠오info@gallerytheo.com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68길 55-3 B1F / 02-556-7290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