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 will present its artists Wonkyo Chou and JEJn at the 2025 Tokyo Gendai, inviting visitors to explore their artistic worlds and engage in discourse.
THEO는 2025 Tokyo Gendai에서 THEO의 아티스트 최원교, JEJn을 선보이고 이들의 작품 세계와 담론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JEJn’s work, which uniquely fuses the artisan culture of medieval guilds with the symbols of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offers a visually striking experience that transcends time, delivering sharp insights into modern human desires. His pieces prominently feature luxury brand logos such as Chanel, Rolex, Hermès, Nike, and Comme des Garçons emblems of contemporary consumerism that function as the most candid symbols stimulating our desires.By juxtaposing the labor of medieval craftsmen with the consumption of modern brands, his work provides a profound reflection on the value of labor and the meaning of consumption within capitalist society. Through the extraction, synthesis, and reconfiguration of diverse images or by deliberately clashing clichéd visuals Jejn presents a black comedy of contemporary consumer culture.
중세 길드의 장인 문화와 현대 소비사회의 상징들을 독창적으로 결합한 재진 작가의 작업은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시각적 충격과 함께 현대인의 욕망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작품에는 샤넬, 롤렉스, 에르메스, 나이키, 꼼데가르송 등의 명품 브랜드 로고들이 현대 소비사회의 대표적 상징들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동시대에 소비되는 대중적 이미지는 우리의 욕망을 자극하는 가장 솔직한 기호로 여겨진다. 또한 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중세 장인들의 노동과 현대 브랜드 소비의 대비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의 가치와 소비의 의미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공한다. 이렇듯 작가는 다양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합성해 새롭게 재구성하거나 상투적 이미지들을 충돌시키는 작업을 통해 동시대 소비 문화에 대한 블랙 코미디적인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Wonkyo Choi
b. 1981 / Korea
Wonkyo Choi is an artist whose practice focuses on the inter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contrasting realms. His recent work explores the nature of images generated in digital environments—examining their spatial and material possibilities—and transforms data-based, immaterial visuals into tactile, physical forms.
최원교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납작한 기록으로 두지 않는다. 그녀는 디지털 카메라로 포착한 산업 현장의 세밀한 질감을 확대·분절·조각해 공간 속으로 끌어들인다. 그 결과물은 때로는 공장 외벽의 녹슨 파란 페인트가 리드미컬한 추상으로, 때로는 반복되는 기계 동작을 은유하는 폭포수같은 무빙 이미지로 변주된다. 사진을 ‘손으로 조각한’ 입체 오브제로 변환시키는 과정은 디지털 공정이 낳은 비물질성을 손의 노동으로 되돌리는 것을 뜻한다. 이 과정에서 사진이라는 매체는 디지털 비물질성을 벗고 지역 산업지형의 질감과 사회적 맥락을 담은 조형 오브제 또는 키네틱 설치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작가는 사진 면 뒤에 숨어 있는 다층적 거리감과 현실과 전시 공간을 겹쳐 놓는 실험적 시각 경험을 선보이며 ‘평행한 깊이’의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